VB(비쥬얼 베이직) 로 작성된 .EXE 파일 관련 오류를 해결하여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VB RUNTIME (런타임) 오류라고 많이 뜨시는 분은 이 설치 프로그램이면 간단히 해결이 가능합니다.


VB6KO.DLL 파일도 같이 들어 있으니 설치 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위 설치 프로그램은 웬만해서는 꼭 필요하면서도 유용한 프로그램이니 저장 해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다운 받으신 후 실행하시면 비쥬얼 베이직 관련 런타임 오류는 눈 씻듯이 다 없어질 겁니다^^




vbruntimes.exe


안녕하세요~ 제가 AMD Ryzen 7 1700, GTX 1060, 램 16GB 로 바꾼지 좀 됐는데 서든어택 게임을 할 때 가끔씩 프레임이 내려가고(드랍되는) 그런 현상이 있더라고요. 파이널존이라는 생존모드를 할 때도 유독 '방송 중'에서만 그런 적이 많았고요.

 




제가 소개해드릴 방법은 서든어택 게임뿐만 아니라 오버워치나 배틀그라운드 등 다른 게임들도 포함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선 제가 겪었던 프레임 드랍은 위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사양이 충분하고도 남을 정도였는데도 한 번 떨어지면 50~60대로 떨어지고(전 144hz 모니터 사용자라 144헤르츠까지 설정 가능합니다.) 방송을 끄지 않는 이상에는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 할 정도였으며 게임 내 설정에서 아무리 설정을 낮추고 바꿔봐도 전혀 바뀌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지금은 방송을 키고도 전혀 문제없는 플레이가 가능 할 정도로 해결을 한 상태입니다.






[1] 그래픽 드라이버


그래픽 드라이버는 최신 버전을 설치 해주시기 바랍니다.


최신버전을 깔아서 프레임 드랍이 생겼다는 말을 하시는 분들이 여럿 보였었는데요. 저 역시 예전에는 구버전을 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다른 문제가 해결되면서 최신 버전을 사용하니까 프레임이 훨씬 안정적이더라고요.


최신 버전이라서 프레임 드랍이 생겼다는 것은 공홈이 아닌 출처가 불분명한 곳에서 다운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다른 문제와 얽혔을 가능성이 충분히 높습니다. 3dp chip 같은 곳에서 설치 하시지 마시고 공식 홈페이지 가셔서 직접 다운 받으신 후 설치 해주세요.


NVIDIA Graphic Driver Download


http://www.nvidia.co.kr/Download/index.aspx?lang=kr


AMD Graphic Driver Download


http://support.amd.com/ko-kr/download







[2] CPU 할당 관련


컴퓨터 CPU를 많이 잡아먹는 프로그램을 찾아보세요.


CPU 쪽은 설치만 하고 신경을 안 쓰시다보니 건너 뛰실 수도 있는데 CPU도 매우 중요합니다. 모르겠으면 그냥 다 종료하고 게임만 실행해봐도 되는데 악성 프로그램은 종료를 하더라도 자동 실행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프레임 드랍이 생길 때 게임을 창모드로 바꾸신 후에 작업 관리자로 가보시고 CPU 사용 순위로 정렬해서 문제의 프로그램을 찾아보시면 됩니다.



Windows 작업 관리자 - 프로세스에서 게임을 우클릭 하신 후에 우선 순위 설정 -> '높음'으로 바꿔보세요.


[CPU 사용이 항상 100%를 유지하시는 분들은 Windows 재설치를 하시거나 V3 백신 설치 해주시기 바랍니다.]







[3]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 & 바이오스 업데이트


여러 곳에서 얘기를 들어보면 딱히 문제가 없으면 안 하는 쪽을 추천 드리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바이오스와 각 드라이버들을 업데이트 해보니 확실히 더 부드러워졌으며 다른 문제도 해결 됐었습니다. 다른 문제가 생기기 전에도 살짝씩 프레임이 떨어지는 약간 미미한 문제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 문제가 해결되면서 거의 다 사라진 상태입니다.



Gigabyte Mainboard


http://www.gigabyte.kr/support-downloads/download-center.aspx?ck=2

Asrock Mainboard


http://www.asrock.com/support/download.kr.asp?cat=Drivers

MSI Mainboard


https://kr.msi.com/support


ASUS Mainboard


https://www.asus.com/kr/support/Download-Center/





[4] NVIDIA 설정


NVIDIA 제어판 -> 3D 설정 관리에 가셔서 게임을 추가해주시고 기본 재생 빈도를 '사용 가능한 최고 값', 전원 관리 모드를 '최고 성능 선호'로 설정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서는 Windows 7 설치시 카비레이크,커피레이크,아이스레이크에서


마우스와 키보드가 안 먹히는 증상에 대해서 소개를 해 드렸었는데요.



이번에는 카비레이크와 커피레이크 그리고 아이스레이크에서


Windows 7 usb 설치를 시도 했다가 하드 인식을 못했을 때


대처할 방법을 안내 해드리겠습니다.



보통 '필요한 CD/DVD 드라이브 장치 드라이버가 없습니다. 

드라이버 플로피 디스크, CD, DVD 또는 USB 플래시 드라이버가 있으면 지금 넣으십시오.'

라는 오류가 대게 많이 뜨고 그러죠? 



제가 AMD Ryzen 7 1700으로 CPU를 바꾼 후에 처음에는 하드 내용은 그대로였기 때문에


딱히 문제는 없었지만


Windows 10을 깔았다가 다시 Windows 7으로 오려고 했을 때


저 오류가 떠서 고생 좀 많이 했었습니다.



자, 오늘의 메인은 'Windows 7(윈도우7) 하드에서 바로 설치를 해보자' 입니다.


카비레이크와 커피레이크 그리고 아이스레이크에서 


usb 설치 할 때 인식이 안되는 문제를 해결해 줄 해결사이기도 합니다.


잘 따라와주세요.


1. 우선 하드가 1개이신 분들은 하드에서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SSD와 HDD가 따로 한개씩 있어서 그 기준으로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2. Windows 7 설치 파일에서 boot, sources 폴더를 D드라이브에 넣습니다.


 (D:\ 루트에 넣으셔야 합니다.)


3. 그 후 제가 업로드한 파일 압축을 푸시고 D:\에 덮어쓰기 해주세요.


4. 그 후 설치하기.cmd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세요.


여기서 주의하실 점은


설치하실 때 D드라이브 포멧을 '절대' 하지마세요.


네버!!


윈도우 설치 도중 D드라이브 포멧을 해버리면 설치가 진행되지를 않습니다.




하드에서 설치하기.zip



카비레이크, 커피레이크, 아이스레이크 사용하시는 분들 제외하고도


usb가 없으시다거나 귀찮다~ 하시는 분들은 하드에서 설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컴퓨터 부품을 자주 바꾸기도 하고 취미기도 한데요.



예전에 CPU를 AMD Ryzen 7 1700 으로 바꾸면서



메인보드도 Asrock AB350 Pro4로 바꾸게 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열?


usb에 굽고 Windows 7 설치화면이 떴을 때까지만 해도


괜찮았지만...


스무스하게 마우스를 잡고 움직여보려고 하니까


마우스가 안 움직여지는 거 있죠?


키보드도 먹통이고..


usb 포트에서 뽑았다가 껴보지만 여전히 먹통..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우선 Windows 10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결과.. 윈도우 7에선 안되던 마우스와 키보드가


윈도우 10을 설치 할 때는 아주 잘~되는 거였습니다.


그러면서 여섯시간동안 Windows 10만 10번은 넘게 설치를 해보면서


문제점을 찾으며 구글링을 해보다가


결국 문제점을 찾아냈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카비레이크 이상 모델은 윈7에서 따로 펌웨어 설치를 해주지 않는 이상에는


usb 2.0이 지원이 안된다는 거였습니다!


네, 전 3.0 포트를 메인보드 조립하다가 날려 먹어버렸기 때문에


아주 그냥 x돼버린겁니다.


문제점을 찾았기 때문에 해결법은 그래도 찾기가 쉬웠습니다.


(한시간 걸렸습니다ㅜㅜ)


정답은 바로


익스 마우스랑 인옵 마우스를 주문 했을 때 주던


둥그런색 색깔의 usb 연결도구에 키보드를 연결하신 후


재부팅 시도를 하시고 설치 하시면 된다는 겁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아 참, 설치를 다 진행하신 후에 all in one driver 설치 해주셔야 합니다~!


전 amd라 amd all in one driver 설치 해줬습니다.


모두 다 원만하게 해결하셨으면 좋겠네요~



클라우드플레어의 캐시서버 이용시 IP가 클라우드플레어의 IP로 등록되는 이슈가 있습니다. 

저만의 해결법은 그냥 common.php에 

$_SERVER['REMOTE_ADDR'] = ($_SERVER['HTTP_CF_CONNECTING_IP']?$_SERVER['HTTP_CF_CONNECTING_IP']:$_SERVER['REMOTE_ADDR']); 

를 적용하였습니다만, 

이 방식이 좋은 방식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사랑(sarangdev)입니다.

 요즘 칼리 리눅스를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요.


무선 랜카드(내장 랜카드)에서 헤매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이 글은  Broadcom(브로드컴) BCM43142 내장 무선 랜카드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그럼 다른 건 다 생략하고 가겠습니다.


우선 터미널(Terminal)을 켜주세요.


터미널(Terminal)을 키신 후 #cd etc/apt

                             /etc/apt# vi sources.list


차례대로 입력해주세요.


그리고 두번째 줄 밑 즉 제일 밑에 이렇게 넣어주세요.


deb-src http://http.kali.org/kali sana main non-free contrib
deb-src http://security.kali.org/kali-security sana/updates main contrib non-free
deb http://http.kali.org/kali sana main non-free contrib
deb http://security.kali.org/kali-security sana/updates main contrib non-free



그리고 :wq 로 저장해주신 후 나오시면 됩니다.



위 스텝을 정상적으로 끝냈으면 첫번째 스텝은 다 밟으신 겁니다.


첫번째 스텝을 다 끝내셨으면 터미널(Terminal)을 다시 들어가신 후



apt-get update


apt-get dist-upgrade


apt-get install -y linux-headers-$(uname -r)



위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해서 설치 해주세요.


여기까지 다 끝내셨으면 마지막 스텝입니다.


터미널(Terminal)에서


 apt-get install synaptic -y


위 명령어를 입력해 synaptic(시냅틱 패키지)을 설치해주세요.


그리고 설치가 끝나면, 시냅틱 패키지를 실행해주세요.


시냅틱 패키지 실행 후 찾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bcm43142"를 검색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 세가지가 뜰텐데요.


broadcom-sta-common
broadcom-sta-dkms
broadcom-sta-source



broadcom-sta-dkms 을 우클릭 해 설치 표시를 하신 후 적용을 누르시고 설치를 해주세요.


그리고 터미널(Terminal)에서 reboot 을 쳐주시면 재부팅 후 정상적으로 와이파이가 작동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로써 칼리 리눅스(Kali Linux) 사용자 여러분께서 따로 외장 랜카드를 구매하실 필요없이 내장 랜카드로 편리하게 와이파이를 사용하셨으면 좋겠군요.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 crontab -e 를 누르신 뒤 
i를 누르면 insert 모드로 변환되기 때문에 글 작성이 가능해 집니다. 

*/20 * * * * wget -O - -q -t 1 http://www.domain.com/test.php 

20분에 한번씩 체크하게 설정을 주었습니다. 
여기서 esc를 누르면 글 작성 모드에서 나오시게 되는데요 
:를 누르신 뒤 wq! 엔터 ! 이게 설정이 다 된것입니다. 



출처:

http://bomool.net/bbs/board.php?bo_table=bo0101&wr_id=29 

# 이온큐브 

이온큐브란 소스코드 보호 솔루션 입니다.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온큐브 로더가 필요하며 
이온큐브 로더는 아래의 링크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ioncube.co.kr/product.html?target=1&menu=5 

# 이온큐브 설치방법 

- 이온큐브 공식지원 웹호스팅을 사용한다면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컴퓨즈닷컴 - http://g3.cc 
cafe24 - http://cafe24.com 
미리내 - http://www.mireene.com 
닷홈 - http://www.dothome.co.kr 
에브리와우 - http://www.everywow.com 
아사달 - http://hosting.asadal.com 

- 본인이 이용하는 웹호스팅의 PHP 버전이 5.2.4 미만일 경우 

이온큐브 로더를 FTP에 업로드만 하면 됩니다. 
32bit 용과 64bit 용을 구분해서 다운받아 FTP 의 루트 디렉토리에 ioncube/ 이름으로 업로드 하면 됩니다. 

adm/ 
bbs/ 
extend/ 
ioncube/ioncube_loader_lin_5.2 ← 이온큐브 로더 파일들 
lib/ 
skin/ 
..... 

위 방법을 실행하기 어렵다면 호스팅 업체에 문의해보시면 됩니다. 


- 본인이 이용하는 웹호스팅의 PHP 버전이 5.2.4 이상일 경우 

본인이 사용하는 웹호스팅에서 이온큐브를 지원해줄 수 있는지 문의해보세요. 
업체에서 이온큐브 지원을 거절한다면 위에 나와있는 이온큐브 공식지원 업체로 이전하시길 권합니다. 


- 단독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PHP 버전이 5.2.4 미만일 경우 웹호스팅과 마찬가지로 이온큐브 로더를 업로드만 해도 됩니다. 
PHP 버전이 5.2.4 이상이라면 이온큐브 한국 지사의 메뉴얼을 참고해서 서버에 직접 설치해주세요. 

http://ioncube.co.kr/miniboard/view.php?id=faq&no=24 

http://goo.gl/3FBeM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