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픽게임즈 무료 배포 (8월 28일 ~ 9월 4일)

에픽스토어는 매주 새로운 게임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이번 주에는 감성적인 퍼즐 어드벤처와 파티에 잘 어울리는 레이싱 게임이 준비되어 있어요.


이번 주 무료 게임

🎁Machinarium

 

  • 스토리 & 분위기
    로봇 '요제프'가 쓰레기장에서 벗어나 도시를 구하기 위해 모험하는 장면이 인상적입니다. 언어 없이도 감정을 전하는 시각적 스토리텔링이 돋보입니다.
  • 수상 이력
    • IGF 2009 시각 예술상 수상
    • PC Gamer 2009 올해의 사운드트랙 선정
    • Gamasutra, VGChartz, DIYgamer, AceGamez 등에서 ‘최고의 인디 게임’ 선정
  • 왜 이번 주 추천작인지?
    감성적 펀치를 주는 퍼즐 스토리, 그리고 수많은 찬사를 받은 명작이라는 점에서 무료 배포 기간에 꼭 경험해보면 좋습니다. 특히 2024년에 출시 15주년을 맞으며 다시 조명받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Make Way

 

  • 게임 방식
    플레이어들이 함께 트랙을 직접 만들어 가며 레이스를 벌이는 DIY 트랙 멀티 레이싱 게임입니다. 루프, 시소, 기차 선로 등 엉뚱한 트랙 구조가 등장하고, 무기를 사용해 상대를 방해할 수 있어 정말 재미있는 대전 요소가 가득합니다.
  • 왜 이번 주 인기작인지?
    친구 혹은 가족과 파티 분위기 레이싱을 즐기기 딱 좋습니다. 직접 트랙을 디자인하고 무작위 요소와 함께 웃음이 끊이지 않는 경험을 원하는 분께 권합니다.

 

 


🌟 게임 특징 & 추천 포인트

  • Machinarium → 언어 없이도 몰입되는 감성 스토리, 다양한 수상 경력, 여전히 사랑받는 어드벤처 명작
  • Make Way → 파티에서 제격인 멀티 레이싱, 단순하지만 중독성 있는 재미

📅 무료 기간 안내

  • 2025년 8월 28일(목) 오전 10시 ~ 9월 4일(목) 오전 10시까지
    기간 내에 라이브러리에 추가만 해도 평생 소장할 수 있습니다.

2025년 휴대용 게이밍 기기 비교 🎮

 

Steam Deck vs ASUS ROG Ally vs Razer Edge

PC 게임을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핸드헬드 게이밍 기기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가장 많이 언급되는 기기는 스팀 덱(Steam Deck OLED), ASUS ROG Ally X, 그리고 Razer Edge입니다.
세 가지 기기의 차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Steam Deck OLED – 안정적인 베스트셀러

Valve의 스팀 덱은 여전히 가장 대중적인 휴대용 게이밍 기기입니다.
2023년 출시된 OLED 모델은 7.4인치 HDR OLED, Wi-Fi 6E, 배터리 향상으로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 운영체제: SteamOS
  • 디스플레이: 7.4″ OLED, 90Hz
  • 특징: 직관적 UI, 스팀 라이브러리 호환성 최고

👉 안정적이고 무난하게 즐기고 싶다면 가장 좋은 선택지입니다.


⚡ ASUS ROG Ally X – 최고 성능의 윈도우 기기

ROG Ally X는 사실상 "작은 게이밍 노트북"에 가까운 성능을 보여줍니다.
최신 Ryzen Z1 Extreme, 최대 24GB RAM, 1TB SSD 지원으로 AAA 게임도 원활하게 구동합니다.

  • 운영체제: Windows 11
  • 디스플레이: 7″ FHD, 120Hz VRR
  • 특징: PC 확장성, 고성능, 다만 배터리 효율은 아쉬움

👉 "성능 최우선" 게이머라면 선택할 이유가 충분합니다.


🌐 Razer Edge – 클라우드 게이밍 특화

 

Razer Edge는 Android 기반으로, 클라우드 게임과 모바일 게임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Xbox Cloud Gaming, GeForce NOW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좋고, 휴대성이 뛰어난 점이 장점입니다.

  • 운영체제: Android
  • 디스플레이: 6.8″ AMOLED, 144Hz
  • 특징: 가볍고 간편, AAA 로컬 게임은 한계

👉 "클라우드 게임 위주"라면 가장 효율적인 선택입니다.


📊 2025년 비교 요약

기기장점단점
Steam Deck OLED 안정성, 스팀 호환성, 직관적 UI 윈도우 지원 없음
ROG Ally X 최고 성능, 윈도우 기반, 확장성 배터리 효율 아쉬움
Razer Edge 가볍고 휴대성, 클라우드 최적화 AAA 로컬 게임 한계

✅ 결론

  • 안정적이고 무난한 사용Steam Deck OLED
  • 최고 성능 & 윈도우 확장성 → ASUS ROG Ally X
  • 클라우드 중심 가볍게 즐기기Razer Edge

결국 중요한 건 "어떤 게임을, 어떤 환경에서 즐기느냐" 입니다.
자신의 게임 스타일에 맞춰 선택하세요.

🎮 요즘 스팀에서 제일 핫한 게임 5가지 (2025년 기준)

스팀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되고 있는 게임,
과연 어떤 작품들일까요?

2025년 8월 기준,
실시간 동시 접속자 수를 바탕으로
요즘 게이머들이 가장 많이 즐기고 있는 인기 게임들을 하나씩 소개해볼게요!


1️⃣ Counter‑Strike 2

🎯 스팀 동시 접속자 약 74만 명 이상

CS:GO의 후속작으로 등장한 Counter‑Strike 2,
출시된 지 시간이 꽤 흘렀지만 여전히 스팀에서 가장 많은 유저가 즐기는 게임이에요.

깔끔해진 그래픽, 향상된 모션, 전략 중심의 팀플레이.
FPS 입문자부터 프로급까지 전 연령층이 함께하고 있죠.

'한 판만 더!' 하다가 새벽 되는 마법,
아직도 유효합니다 😅


2️⃣ Dota 2

⚔️ 스팀 동시 접속자 약 60만 명 이상

오랜 역사와 팬층을 가진 MOBA 장르의 끝판왕, Dota 2.
롤보다 더 전략적이고 복잡한 구조를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여전히 최고의 선택이에요.

최근 대형 업데이트와 e스포츠 리그 확대 덕분에
유저 수가 다시 늘고 있는 중이에요.

특히 파티 유저들 사이에서의 인기가 여전합니다!


3️⃣ PUBG: Battlegrounds

🏹 스팀 동시 접속자 약 40만 명 이상

"배그는 이제 끝났다"는 말, 아직 이릅니다.
여전히 많은 유저가 배틀로얄의 원조를 찾고 있어요.

특히 무료화 이후 유입된 신규 유저들
꾸준한 콘텐츠 업데이트가 인기를 유지시켜주고 있죠.

최신 총기, 맵, 차량까지 다양하게 바뀌었기 때문에
예전에 하다 말았던 분들도 다시 돌아오기 좋은 시점이에요!


4️⃣ Bongo Cat

😺 스팀 동시 접속자 약 8만 명 이상

이건 예상 밖이죠?
귀여운 고양이들이 화면을 가득 채우는 타자 기반 게임, Bongo Cat입니다.

최근 멀티플레이가 추가되면서
최대 100마리의 고양이가 한 화면에서 '톡톡' 두드리는 풍경이 펼쳐져요.

단순한 조작 + 중독성 + 커뮤니티 유행
덕분에 생각보다 훨씬 많은 유저가 즐기고 있어요!


5️⃣ Old School RuneScape

🧙 스팀 외 비공식 접속 포함 동시 약 20만 명 이상

사실상 스팀 공식 동시접속자 집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전체 유저 수 기준으론 4~5위권에 드는 인기작이에요.

복고풍 그래픽, 넓은 오픈월드,
꾸준한 콘텐츠 추가 덕분에 유저층이 두터워요.

"요즘 게임은 너무 복잡해"
하는 유저들에겐 오히려 이런 구식 스타일이 더 끌릴 수 있어요.


한 줄 요약

요즘 스팀에서는
오래 살아남은 스테디셀러
의외의 귀여운 캐주얼 게임들이 공존하고 있어요.

"한번 해볼까?" 하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도
정신 차려보면 새벽 3시인 게임들… 조심하세요 

🎮 요즘 뭐하지? 2025년 8월 핫한 게임 추천 TOP5

"할 게임이 너무 많아도 고민, 없으면 더 고민!"
요즘 뭐가 재밌는지 잘 모르겠다면,
지금 뜨는 게임 5가지만 알아도 충분해요.

PC, 모바일 가리지 않고
장르별로 딱 하나씩만 추천드릴게요!


1️⃣ 발더스 게이트 3 (PC·스팀)

  • 장르: 턴제 RPG / 시나리오 기반
  • 추천 이유: 영화처럼 몰입도 높은 스토리,
    선택지에 따라 스토리가 완전히 달라지는 자유도
  • 이런 분께: “스킵 없이 게임에 빠지고 싶은 분”

→ GOTY 수상작으로, 지금도 입소문으로 신규 유저 계속 유입 중이에요.


2️⃣ 몬스터 헌터 와일즈 (PS5, Xbox Series X/S, PC)

  • 장르: 오픈월드 헌팅 액션 RPG
  • 추천 이유:
    생동감 있는 자연 속에서 거대한 몬스터를 추적하고 사냥하는 재미!
    이번 작품은 광활한 오픈필드, 날씨 변화, 실시간 동물 생태계까지 구현돼서
    사냥 자체가 하나의 ‘여정’처럼 느껴져요.
  • 플레이어 스토리라인도 더 강화돼서
    몰입감 있는 솔로 플레이도 가능하고,
    크로스플레이로 친구들과 함께 즐기기도 쉬워요.
  • 이런 분께:
    “혼자도, 여럿이도 오래 즐길 게임 찾는 분”
    “무기 커스터마이징 + 몬스터 사냥의 성취감을 느끼고 싶은 분”

3️⃣ 던전 앤 파이터 모바일 (모바일)

  • 장르: 2D 액션 RPG
  • 추천 이유: 원작 감성을 그대로 살린 손맛!
    편리한 조작감과 함께 꾸준한 업데이트 중
  • 이런 분께: “출퇴근 시간에 손맛 나는 게임 찾는 분”

→ 여전히 구글스토어 상위권! 이벤트도 계속 열리고 있어요.


4️⃣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 3 (닌텐도 스위치)

  • 장르: 오픈월드 RPG
  • 추천 이유: 아름다운 세계관과
    독창적인 전투 시스템, 감동적인 스토리
  • 이런 분께: “일본 RPG 감성 좋아하는 분”

→ 여름 휴가 시즌에 푹 빠져들기 좋은 몰입형 게임이에요.


5️⃣ 하데스 2 (PC, 콘솔 예정)

  • 장르: 로그라이크 액션 RPG
  • 추천 이유:
    그리스 신화 속 마법 전사 ‘멜리노에’가 되어
    매번 새롭게 생성되는 던전을 돌파하는 로그라이크 게임이에요.누구나 금방 배우지만, 마스터하기는 어렵다는
    그 ‘황금비’의 난이도 덕분에 유저 만족도도 매우 높아요.
  • 전작보다 더 깊어진 스토리, 더 다양해진 무기와 전투 스타일,
    여기에 중독성 강한 진행 속도까지!
  • 이런 분께:
    “짧게 짧게 몰입해서 즐길 게임 찾는 분”
    “조작감, 타격감 확실한 액션 좋아하는 분”
    “도전 욕구 자극하는 로그라이크 좋아하는 분”

💡 마무리 한마디

이 중에서 한두 개만 시작해도
이번 여름이 금방 지나갈 정도로 빠져들 수 있어요.

📌 다만!
게임은 즐겁게 해야 하니까
내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장르를 고르는 게 가장 중요해요.

궁금한 게임 있으시면
다음 포스팅에서 리뷰나 초보자 팁도 소개해드릴게요! 😊

🎧 디스코드 필수 기능 7가지

음성채팅 그 이상을 원한다면

디스코드는 게이머들에게 익숙한 음성채팅 도구지만,
이제는 단순한 대화를 넘어서
커뮤니티, 소통, 협업까지 가능한 플랫폼으로 성장했어요.

오늘은 디스코드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제로 유용한 기능 7가지를 정리해 소개드릴게요.

 

✅ 1. /명령어로 빠르게 기능 실행하기

채팅창에 /를 입력하면
기본 명령어부터 설치된 봇 기능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giphy : GIF 이미지 검색

/tts : 텍스트 음성 출력

/poll : 설문 기능

서버가 복잡할수록 명령어 활용이 큰 도움이 됩니다.

 

✅ 2. 음성채널에서 화면공유와 영상채팅까지

디스코드 음성채널에서는
단순한 음성 외에도 화면공유, 웹캠, 라이브 영상 기능을 지원합니다.
회의, 온라인 수업, 게임 공유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합니다.

 

최대 50명까지 참여 가능한 화면공유 기능도 있습니다.

 

✅ 3. 서버에 ‘봇’ 추가해서 자동화 기능 확장

디스코드의 핵심은 ‘봇’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서버에 봇을 초대하면 자동화된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술팽봇, FredBoat : 음악 스트리밍

MEE6, Dyno : 환영 메시지, 경고, 등급 관리

PollBot : 투표 생성

티토커: 텍스트 음성 출력

서버 운영 부담을 줄여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 4. 채널은 카테고리로 정리하는 것이 기본

채널이 많아질수록 사용자 경험은 떨어질 수 있어요.
채널을 카테고리로 구분하면 정보 접근성이 좋아지고
신규 유저도 쉽게 적응할 수 있어요.

예:

📢 공지사항

💬 자유채팅

📁 자료공유

🎮 게임별 토론방

 

✅ 5. 역할(Roles) 설정으로 유저 권한 분리

서버 운영 시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역할을 부여하면 각 사용자에게 채널 접근 권한, 닉네임 색상, 알림을 개별 설정할 수 있어요.

관리자 / 멤버 / 게스트 등 구분

특정 역할에게만 채널 작성 권한 부여 가능

커뮤니티 규모가 커질수록 반드시 필요한 구조입니다.

 

✅ 6. 단축키 활용으로 디스코드 더 빠르게 쓰기

디스코드는 단축키가 잘 구성되어 있어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단축키로 익혀두면 훨씬 편리합니다.

Ctrl + K : 서버·채널 빠른 이동

Ctrl + Shift + M : 마이크 음소거

Ctrl + / : 전체 단축키 보기

 

✅ 7. 모바일 앱에서도 거의 모든 기능 사용 가능

디스코드 앱은 모바일에서도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운영자라면 이동 중에도 공지 작성, 채널 관리, 권한 설정이 가능해요.

푸시 알림 설정만 잘해두면 실시간 대응도 가능합니다.

 

📌 마무리 정리

디스코드는 단순한 음성채팅 앱이 아닙니다.
역할과 구조를 잘 설정하면,
팀 협업부터 커뮤니티 관리까지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플랫폼
이 됩니다.

오늘 소개한 기능들만 숙지해도
디스코드를 훨씬 더 편하게, 체계적으로 활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

🎮 엘든링 DLC: 그림자의 땅(Shadow of the Erdtree)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5가지

  1. DLC 진입 조건이 꽤 까다로워요
    DLC는 본편 ‘몰락한 미켈라’를 만나야 시작할 수 있어요.
    즉, 말레니아를 처치한 후 ‘모그윈 궁전’의 모그를 클리어해야 해요.
    → 본편 후반까지 플레이하지 않았다면 DLC 입장이 막힐 수 있어요.
  2. 난이도는 ‘역대 최강’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예요
    기존 엘든링보다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요.
    새로운 지역은 보스들이 패턴이 길고 공격이 강력해서,
    무기 업그레이드와 전투 이해도가 훨씬 중요해졌어요.
  3. 무기와 전기(영체)의 다양성이 폭발합니다
    DLC에서만 얻을 수 있는 특수 무기와 고유 전기들이 많아요.
    예를 들어 ‘붉은 사슬검’, ‘그림자 창’ 등은 패링과 회피 중심 전투 스타일에 맞춰 설계돼 있어요.
  4. 새로운 지역 탐험은 훨씬 더 수직적이에요
    이전보다 고저차가 큰 지역이 많고, 맵 구조가 훨씬 복잡해졌어요.
    숨겨진 길, 비밀 보스, 퍼즐 요소가 대폭 강화되어
    그냥 달리기만 해선 절대 보지 못할 장소들이 많습니다.
  5. 스토리는 미켈라와 신들의 이야기 중심
    DLC 핵심은 ‘미켈라’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몰락한 신들과 잊혀진 종족들의 비밀을 마주하는 여정이에요.
    로어 파고들기 좋아하는 분들에겐 정말 황홀한 콘텐츠!

💡 플레이 전 꿀팁 요약

항목내용
DLC 입장 조건 모그 처치 + 미켈라 만남 (모그윈 궁전)
최소 추천 레벨 130 이상
장비 준비 성별무기 + 출혈 or 화염 계열 효과 좋음
영체 추천 티셋, 검은 칼날 티샤, 미믹의 눈물 등
초반 무기 황금번개의 검, 붉은 사슬검, 검은 그림자 대검 등
 

🖥️ 2025년 데스크탑 조립 추천 사양표

게임용 · 사무용 · 영상편집용까지 정리

안녕하세요.
조립PC 정보를 전문적으로 소개하는 블로그입니다.

2025년에도 여전히 조립 PC는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과 부품 구성의 유연함 덕분에 많은 분들이 찾고 계십니다.
특히 목적에 따라 알맞은 부품을 선택하면, 브랜드 완제품보다 훨씬 더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죠.

오늘은 2025년 7~8월 기준으로 추천할 만한 조립PC 사양표를 용도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게임용, 사무용, 영상편집용까지 모두 담았으니, 자신의 목적에 맞는 조합을 참고해보세요!

 


✅ 2025년 조립PC 추천 사양표 (7~8월 기준)

🧾 용도🔧 CPU🎮 그래픽카드🧠 메모리💾 저장장치🧩 메인보드기타 참고사항
사무용 Intel i3-14100 / Ryzen 5 5500 내장그래픽 사용 16GB DDR4 SSD 500GB A620 / B660 조용한 케이스, 80+ 파워
게임용 (FHD) Intel i5-14400F / Ryzen 5 7600 RTX 4060 / RX 7600 16~32GB DDR5 NVMe SSD 1TB B760 / B650 쿨링 강화, 강화유리 케이스
영상 편집용 (4K 지원) Intel i7-14700K / Ryzen 9 7900X RTX 4070Ti / 4080 Super 32~64GB DDR5 SSD 1TB + HDD 보조 Z790 / X670E 750W 이상 파워, 저소음 설계 추천

 


🔍 용도별 특징 정리

🧾 사무용 PC

  • 문서 작업, 이메일, 웹서핑, 화상회의 등에 적합
  • 내장그래픽만으로도 충분하며, 발열과 소음이 적은 시스템 선호
  • 슬림형 케이스 + 저소음 팬 구성 추천

🎮 게임용 PC

  • FHD 해상도 기준으로 RTX4060이 가장 많이 선택됨
  • 고주사율 모니터(144Hz 이상)와의 호환성 고려
  • 케이스 쿨링, 전원 공급 안정성 중요

🎞️ 영상편집용 PC

  • Adobe Premiere, DaVinci Resolve 등의 사용 환경 기준
  • GPU VRAM 12GB 이상, CPU 코어 8개 이상 권장
  • 스토리지 속도 및 안정성도 중요하므로 NVMe SSD 필수

⚙️ 부품 구매 & 조립 팁

  • GPU는 환율과 재고 상황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큼 → 시세 확인 필수
  • 조립 대행 시, 테스트 비용 포함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중고 부품 활용 시 A/S 및 수명 이슈 고려 필요

📝 마무리하며

조립 PC는 단순히 ‘싸게 맞춘다’가 아니라,
자신의 작업 목적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략입니다.

게임을 주로 한다면 RTX4060~4070,
영상 편집이나 고해상도 작업이 많다면 4070Ti 이상,
단순한 오피스용이라면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합니다.

앞으로도 월별 최신 사양표, 세대별 CPU/GPU 비교표 등
실용적인 조립 가이드를 지속적으로 업로드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조합이나 예산대에 대한 요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PC방 인기 랭

킹 게임 변화 (2019~2025)

안녕하세요, 오늘은 2019년부터 2025년까지의 PC방 인기 게임 순위 변화를 정리해보려 합니다.
6년이라는 시간 동안 어떤 게임은 순위를 유지했고, 어떤 게임은 급상승하며 판도를 바꿨는지,
Gametrics 기준 데이터를 중심으로 트렌드를 분석해드립니다.


✅ 왜 PC방 랭킹이 중요한가?

한국은 PC방 문화가 게임 생태계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나라입니다.
신작의 흥행 여부, 장르별 트렌드, e스포츠 영향까지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나타나는 곳이 바로 ‘PC방 점유율’이죠.
그래서 PC방 순위는 곧 유저들의 실제 플레이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연도별 인기 게임 흐름 요약

연도특징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절대강세, 메이플스토리·피파온라인4 상위권 유지
2020 배틀그라운드 재도약, 코로나 이후 PC방 산업 영향
2021 발로란트 정식 출시 후 성장세 시작
2022 LoL+발로란트 양강구도, 메이플스토리 반등
2023 FC 온라인 리브랜딩 효과로 급상승
2024~2025 LoL 독주 지속, 메이플·FC 온라인·발로란트 경쟁 구도

 

🏆 2025년 최신 TOP5 게임

순위게임명점유율(예상)특징
1위 리그 오브 레전드 약 31~35% 변함없는 인기, e스포츠 기반의 장기 독주
2위 메이플스토리 약 12~14% 신규 유저 유입 + 기존 유저 충성도 탄탄
3위 FC 온라인 약 10~12% 리브랜딩 이후 매출·접속자수 상승세
4위 발로란트 약 7~9% 전략 FPS의 대세로 자리잡음
5위 배틀그라운드 약 7~8% 리마스터·PNC 등으로 고정 팬층 유지
 

※ 출처: Gametrics, 티스토리 분석글, 뉴스보도 종합 (2025년 6월 기준)

 


🔍 트렌드 해석: 무엇이 달라졌을까?

✔ 리그 오브 레전드의 장기 독주

  • 2019~2025 내내 1위 유지
  • 시즌 간 밸런스 조정 & 국제대회 효과 (MSI, 롤드컵)

✔ 발로란트의 빠른 도약

  • 2020 베타 이후 FPS 장르 지각변동
  • PC방 점유율 1%에서 7~9%로 급상승

✔ FC 온라인의 리브랜딩 성공

  • 피파온라인4 → FC 온라인 전환 이후 점유율 회복
  • 전통 스포츠 게임의 꾸준한 수요 반영

✔ 메이플스토리의 안정적 반등

  • 업데이트 주기와 이벤트 중심의 설계로 고정 유저 + 복귀 유저 확보
  • 복고 + 뉴트로 감성의 대표 주자

로스트아크의 하락과 반등 시도

  • 2025년 5월, 서비스 5년 만에 처음으로 PC방 순위 TOP10에서 이탈, 점유율 약 1% 미만 기록
  • 하락 요인: 성장 부담, 경제 시스템 붕괴, 운영 불신, 콘텐츠 피로 누적
  • 그러나 6월 업데이트(신규 클래스 ‘발키리’, 여름 이벤트) 이후 9위 재진입, 점유율 약 2.19% 회복
  • 여전히 유저들의 냉랭한 시선이 존재하며, 향후 운영 소통 및 콘텐츠 혁신이 반등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

🔁 돌아온 게임들: 리바이벌 사례

  • 로스트아크: PC방 10위권 재진입, 대규모 업데이트 효과
  • 디아블로4: 시즌 4~5 이후 점유율 상승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꾸준한 저점 유저층 유지
    복귀 유저 + 이벤트 타이밍이 중요한 변수

📌 마무리: 앞으로의 변수는?

  • 신규 기대작(예: 카르마존, 프로젝트 오리진 등)의 등장
  • 스트리머/유튜버의 콘텐츠 파급력
  • e스포츠 생중계와 연동된 트래픽 증가

2025년 하반기 이후에도 LoL과 발로란트 중심의 메타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이제는 ‘장르 다양성’과 ‘콘텐츠 유지력’이 순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